다이어트 한약 복용시 가장 많이 물어보는 3가지 증상

2025. 10. 19. 19:31유익한 건강 칼럼

혼자서 체중조절을 하기 힘든 분들에게 처방되는 다이어트 한약은 의약품이다보니, 건강한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처방 전후로 진료가 꼭 필요해요.

 

오늘은 다이어트 한약 복용 후 가장 많이 물어보시는 3가지 증상에 대해 정리해보았는데, 자세한 내용은 한의사 원장님과의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

 

💡 다이어트 한약 복용 후 식욕이 잘 조절되다가 다시 돌아오는 느낌이 들 수 있어요.

 

몸의 ‘세트포인트’(체중 항상성) 작용

 

   
우리 몸은 일정한 체중 범위를 ‘정상 상태’로 기억하고, 이를 유지하려는 조절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이어트로 체중이 줄면, 몸은 생존을 위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갑상선호르몬 분비를 낮추는 방향으로 반응해요.
    
특히 갑상선호르몬이 줄어들면 대사 속도, 체온, 칼로리 소모량이 모두 감소하면서, 몸은 ‘이제 그만 빼라’는 신호를 보내고, 보상성으로 식욕을 높여 체중을 원래 상태로 돌리려는 메커니즘이 작동하게 됩니다.
    
→ 즉, “몸은 위협을 느끼면 살을 지키려 한다”는 생리적 반응이에요. 이 때는 진료 후 한약 단계를 조절하면 된답니다.

 

 

 

탄수화물 섭취 후 반응성 저혈당

 

   

다이어트 중에 정제 탄수화물이나 당류를 섭취하면, 혈당이 급격히 상승 → 인슐린이 과도하게 분비 → 혈당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일시적으로 저혈당 상태가 될 수 있어요.
    
이때 어지러움, 졸음, 집중력 저하, 갑작스러운 배고픔이 생기며, 실제로는 밥을 먹었는데도 “더 먹고 싶다”는 신호가 강해질 수 있답니다.
    
즉, 인슐린 과잉 반응 때문에 탄수화물이 식욕을 유발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생기는 거죠.
    
→ 다이어트 중이라면 ‘혈당의 급상승-급하락’을 막는 식습관이 핵심입니다. 따라서 한약 복용과 식단 관리를 병행하는 것이 좋아요.

 

💡 다이어트 한약 복용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 피로감이 느껴질 수 있어요.

 

마황의 교감신경 자극 작용

 


마황의 주성분 에페드린은 교감신경을 자극해 심박수 증가, 체온 상승, 식욕 억제, 지방 분해 촉진 등을 유도합니다.
    
이 과정은 신체가 ‘싸우거나 도망치는(Fight or Flight)’ 상태와 유사하며, 일시적으로 대사가 활발해지고 에너지가 많이 소비됩니다.

 

 

갈색지방 활성화 및 대사 항진

 


에페드린은 갈색지방조직의 미토콘드리아 활성을 촉진해 열을 만들어내고, 이로 인해 지속적인 칼로리 소모와 체중 감량 효과를 유도해요.

 

→  교감신경이 계속 흥분된 상태가 지속되면 반동 피로가 찾아올 수 있습니다. 진료 후 한약 복용 시간을 적절히 조절해서 수면시간과 반동 피로가 찾아올 시간을 맞출 필요가 있어요.

 

 

 

💡 다이어트 한약과 다른 걸 같이 복용했을 때 심장이 과하게 두근거릴 수 있어요.

 

교감신경 자극 작용의 중첩

 


에페드린은 교감신경을 자극해 심박수를 일시적으로 높이고 이는 신체가 에너지를 더 빠르게 쓰도록 유도하는 정상적인 약리 반응이지만, 여기에 카페인(커피, 에너지음료, 녹차 등)이나 다른 교감신경 자극제(예: 감기약, 체중감량 보조제 등)를 함께 섭취하면 교감신경 자극이 누적·과도해져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손이 떨리고, 불안감이 동반될 수 있어요.

 

→  다이어트 한약 복용시에는 카페인이나 다른 교감신경 자극제는 함께 섭취하지 않는 걸 추천드려요.

 

 

 

저희의 다이어트 목표는 단순한 체중 감량이 아니라 요요 없이, 면역력도 유지하면서, 건강하게 감량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런데 우리 몸은 ‘변화를 유지하는 것’보다 ‘원래대로 돌아가는 것’을 더 잘합니다. 그래서 새로운 체중을 뇌가 ‘기본값’으로 기억하도록 하려면, 3개월 이상은 그 체중을 유지하며, 식단과 생활습관을 안정화시켜야 해요.

이 과정은 단순한 체중 관리가 아니라, 몸 전체의 ‘대사 리듬 재설정’에 가까운 작업입니다.


따라서 한약 복용 뿐 아니라 중간중간 진료를 통해 더 건강하게 체중조절을 해가는 여정을 함께해요 :-)